분류 전체보기 60

4. 망원 렌즈로 촬영하는 밀도 높은 사진

* 단순히 크게 찍는 것만으로는 아까운 망원 렌즈의 효과 사진 초보자에게 망원 렌즈는 선망의 대상 중 하나일 것입니다. 보기에도 임팩트 있는 큰 렌즈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망원 렌즈를 멀리 있는 피사체를 크게 찍을 수 있는 렌즈라고만 생각하면 능숙해지기 어려울 것입니다.  망원 렌즈만의 촬영 효과를 알고 적절히 사용해봅시다."멀리 있는 것을 크게 찍는 것만이 아닌 망원 렌즈의 매력을 알아봅시다." STUDY 1. 망원 렌즈는 어떤 렌즈인가? 망원 렌즈를 능숙하게 사용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좁은 범위를 담는 렌즈'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멀리 있는 것을 찍을 수 있고 크게 찍을 수 있다는 것은 부수적인 효과이며 '좁은 범위'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광각 렌즈와 반대로 망원을 '협각..

Upper middle class 2025.01.06

3. 광각) 테크닉의 열쇠는 '거리'와 '각도'

실제로 광각 렌즈를 사용할 때는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와 각도에 주목합시다. 넓게 찍힌다는 것은 화면 내의 정보가 늘어난다는 것과 같으며, 대충 촬영해버리면 무엇을 찍었는지 알 수 없고 산만한, '의미 전달이 불가능한 사진'이 되어버립니다.  또 조금 카메라에서 먼 위치에 있으면 작게 찍혀버립니다. 넓게 찍히는 점을 이용해 일부러 주제에 바짝 다가가 배경과의 강약을 만들거나 각도를 살려 원근강믜 강도나 방향을 컨트롤해야 합니다.  렌즈를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보면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다른 면을 볼 수 있습니다.  "표준 줌 렌즈와 같은 거리감으로 촬영하면 모든 풍경이 멀어지므로 쓸쓸한 느낌의 사진이 되어버립니다."  SCENE 1. 주제에 바짝 다가가 원근감을 강조 광각을 사용하면 넓게 찍히..

Upper middle class 2025.01.05

2. 광각 렌즈로 표현하는 원근감

* 강렬한 원근감을 살려 다이내믹하게 표현하자 눈앞에 펼쳐진 풍경을 드넓고 다이내믹하게 담아내고 싶다면 광각 렌즈를 선택하면 좋을 것입니다.번들용 표준 줌렌즈로는 담을 수 없는 범위를 간단하게 찍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각 렌즈 특유의 원근감(perspective)을 활용해 일상에서도 임팩트 있는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광각 렌즈의 역적인 묘사는 보는 사람을 사진의 세계로 끌어들이는 힘이 있니다."  STUDY 1.  광각 렌즈는 어떤 렌즈인가? 광각 렌즈는 넓은 범위를 찍을 수 있는 렌즈를 말합니다.즉 웅대한 경치를 촬영하기에 적합한데 그것뿐만은 아닙니다. 기억해야 할 것은 광각 렌즈는 "카메라로 볼 때" 넓은 범위를 찍을 수 있는 것이지 피사체가 크고 넓을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큰 피사체..

Upper middle class 2025.01.05

1. 렌즈 교환에 도전해보자!

* 렌즈를 교환하면 표현의 폭이 훨씬 넓어진다 카메라를 샀을 때 함께 제공되는 번들용 표준 줌 렌즈는 많은 장면에서 폭넓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카메라의 세꼐에는 각각의 용도에 특화된 수많은 교환 렌즈가 있습니다.  표준 줌 렌즈를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게 되면 다음은 당신의 구미에 맞는 렌즈를 찾을 차례입니다.렌즈를 교환하면 지금껏 불가능했던 다채로운 사진 표현이 가능해집니다.  "표준 줌 렌즈와는 조금 색다른 표현을 원한다면 렌즈를 교환해봅시다."   STUDY 1. DSLR의 묘미는 렌즈의 교환 렌즈는 빛을 카메라 이미지 센서로 정확하게 유도하기 위한 굉장히 중요한 아이템입니다. 렌즈의 성능이 안 좋으면 카메라 성능을 충분히 이끌어낼 수 없습니다.  또 카메라 바디는 3년 전후로 모델이 바뀌..

Upper middle class 2025.01.05

중급15. 셔터 스피드의 역할 '노출 조절'과 '피사체의 움직임 표현'

셔터 스피드에는 카메라에 빛을 들이는 '노출 조절'과 '피사체의 움직임 표현' 두가지 역할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정확하게 구분해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까다로운 노출 조절과 움직임 표현의 두가지 밸런스를 잡아주는 것이 셔터 우선 AE입니다. 셔터 우선 AE에서는 촬영자가 셔터 스피들르 자유롭게 결정하고 카메라가 노출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F값과 ISO감도를 자동으로 설정해줍니다.  **셔터 스피드 표시는 카메라에 따라 분자가 생략되어 1/10초를 10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 10초는 10''으로 표시합니다.   PRACTIC 2. 빠른 속도의 피사체를 완전히 멈추고 싶다면 1/1,000초가 기준 카메라에서 설정 가능한 셔터 스피드의 폭은 입문 기종의 카메라에서도 보통..

카테고리 없음 2025.01.05

중급14. 셔터스피드로 표현하는 멈춤과 움직임

* 셔터 스피드로 한 장의 사진에 시간을 담을 수 있다 사진은 정지 영상이므로 '멈춘 상태'의 표현밖에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적지 않지만 핵심을 알면 '움직임'도 충분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노출의 3가지 요소인 F값, 셔터 스피드, ISO 감도를 떠올려 봅시다. 셔터 스피드의 단위는 시간입니다. 한 장의 사진을 기록하기 위한 시간을 잘 컨트롤할 수 있으면 머춤과 움직임을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사진은 시간을 잘라 담는 것이며 그 순간의 길이는 셔터 스피드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STUDY 1. 셔터 스피드에 따라 찍히는 모습의 차이를 안다 우선 셔터 스피드를 바꾸면 사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생각해봅시다.셔터 스피드란 렌즈를 통과한 빛을 이미지 센서에 담아두는 시간을 말합..

intermediate level 2025.01.05

중급13. 빛줄기를 더한 반짝이는 풍경(F11)

* 빛에 빛줄기를 그려서 강한 빛을 연출한다 조리개를 열어 밝은 점광원을 촬영하면 빛망울이 생기는데, 반대로 조여서 촬영해보면 독특한 포인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이것이 '빛줄기'로 인한 표현입니다. 풍경이나 야경 사진에서 광원 주변에 반짝이는 날카로운 선이 몇 개 뻗어 나와 있는 것이 바로 그 표현입니다.화면 내에 빛줄기를 넣으면 강약이 있는 멋진 사진으로 만들기 쉬우므로 만드는 법을 배워두면 좋습니다.  "빛의 줄기를 만들어 강렬한 빛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STUDY 1. 조리개의 변에 따라 광원이 뻗어나와 찍히는 것이 빛줄기 크고 날카로운 빛줄기를 얻기 위해서는 조리개를 충분히 조여 촬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빛줄기는 조리개의 테두리에 빛이 회절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조이면 조리개의 면적에 비해..

intermediate level 2025.01.05

중급12. 빛망울로 그리는 환상적인 풍경(F4)

* 빛망울을 화면에 곁들여 사진을 화려하게 만들자 F값이나 촬영 거리를 컨트롤해 사진의 배경 흐림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다면 '빛망울 표현'에 도전해보세요.피사체의 배경을 단순히 흐리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보석이 흩어져 있는 것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동그란 빛망울을 포인트로 한 표현입니다. 이 표현을 사용하면 단숨에 상급자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무척 쉬운 표현입니다.  "사소한 피사체도 빛망울을 곁들이면 화려한 인상으로 바뀝니다." STUDY 1. 작은 광원이 조리개의 형태에 맞춰 동그랗게 흐려진다 빛망울이 동그란 이유는 렌즈가 동그랗기 때문입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렌즈의 조리개 형태가 동그랗기 때문입니다. 빛망울의 크기나 형태는 조리개의 형태를 반영합니다. 최근 대부분의 렌즈 조리개는 '원형 조리개..

intermediate level 2025.01.05

중급11. 우선은 두 가지 F값을 구분해 사용한다

F값을 설정하는 것은 어려워 보이지만 처음에는 가장 작은 F값(개방F값)과 F11 두가지를 구분해서 사용하면 효과를 실감하기 쉬우므로 추천합니다.  단초점 렌즈는 F1.4~F2.8, 줌 렌즈는 F2.8~F5.6 이 개방 F값이 될 것입니다. 익숙하지 않을 때는 F값을 미세하게 바꿔도 좀처럼 효과를 실감하기 어렵기 때문에 처음에는 크게 바꿔서 시험해보는 편이 배경 흐림 표현을 습득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CASE1. 복잡한 배경은 배경 흐림으로 정리주제는 아름다운데 배경이 어수선한 경우에는 F값을 가장 작게 해서 흐리게 만들어 배경의 정보량을 줄입시다. 배경을 심플하게 만들어 피사체를 돋보이게 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CASE2. 전체가 선명하게 보이는 다이내믹한 풍경화면 전체를 구석구석까지 선명하게..

intermediate level 2024.12.31

중급10. 배경 흐림과 선명함을 구분해 사용하자 (조리개 우선모드)

* 조리개 구조로 배경 흐림과 선명함을 컨트롤한다 카메라를 막 다루기 시작한 초보자를 고민하게 만드는 가장 큰 어려움이 F값이 무엇인가 하는 것인데, F 값이 가진 두 가지 효과를 제대로 구분해서 이해할 수 있으면 문제 없습니다.  첫 번째 효과는 카메라에 들어오는 빛의 양(사진의 밝기)의 변화입니다. 두 번째 효과는 이번에 자세하게 소개할 선명하게 찍히는 범위(배경 흐림 정도)의 변화입니다.  이 두가지 효과를 별도로 나누어 생각하면 F값은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조리개는 배경 흐림의 양을 컨트롤할 수 있는 중요한 설정입니다. 많은 프로들이 사용하고 있는 조리개 우선 모드의 사용 방법을 배워봅시다." F값을 작게 하면 주연이 돋보인다F값을 크게 하면 세부까지 확실하게 찍힌다  1. F값을 작게 할수..

intermediate level 2024.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