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mediate level

중급12. 빛망울로 그리는 환상적인 풍경(F4)

lobment 2025. 1. 5. 18:19

* 빛망울을 화면에 곁들여 사진을 화려하게 만들자

 

F값이나 촬영 거리를 컨트롤해 사진의 배경 흐림을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다면 '빛망울 표현'에 도전해보세요.

피사체의 배경을 단순히 흐리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보석이 흩어져 있는 것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동그란 빛망울을 포인트로 한 표현입니다. 이 표현을 사용하면 단숨에 상급자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무척 쉬운 표현입니다. 

 

"사소한 피사체도 빛망울을 곁들이면 화려한 인상으로 바뀝니다."

 

STUDY 1. 작은 광원이 조리개의 형태에 맞춰 동그랗게 흐려진다

 

빛망울이 동그란 이유는 렌즈가 동그랗기 때문입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렌즈의 조리개 형태가 동그랗기 때문입니다. 빛망울의 크기나 형태는 조리개의 형태를 반영합니다. 최근 대부분의 렌즈 조리개는 '원형 조리개'로, 개방 조리개 시에는 원형이 되지만 점점 조일 수록 7각형이나 9각형이 됩니다. 그로 인해 빛망울도 조리개를 조일수록 작고 각지게 되는 것을 기억해둡시다. 

 

F4. 개방 F값이 F4인 렌즈로 촬영하면 깔끔한 원형 빛망울이 생깁니다.

F4에서 F8로 조이면 빛망울의 크기는 반으로 줄어듭니다. 조리개를 조이면 원형의 형태가 무너지고 각진 형태가 됩니다. 

F11. 더 조이면 빛망울은 더욱 작아집니다. 빛망울의 형태를 잘 보면 조리개의 형태가 반영되어 8각형이 됩니다. 

 

 

PRACTICE 1. 빛망울의 소재는 다양한 장소에 숨어 있다

 

빛망울 촬영이 가장 쉬운 곳이 밤거리입니다. 가로등이나 거리의 네온사인, 자동차의 라이트 등 온갖 빛이 '빛망울의 소재'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빛망울을 크게하기 위해 조리개를 열고 촬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두운 장면과도 잘 맞습니다. 낮에는 숲속의 나무들 사이로 미치는 빛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잎과 잎 사이로 보이는 밝은 하늘은 점광원이 되므로 하늘이 밝으면 흐린 날에도 가능합니다. 

 

수면의 반짝임을 찍으려는 경우 연못이나 물웅덩이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 반드시 반짝이는 포인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TIP. 빛망울의 소재가 되는 것

빛망울을 만들기 위해서는 빛망울의 소재를 찾아야만 합니다. 

빛망울은 특수한 상황에서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은데, 사실은 주변의 온갖 장소에 빛망울의 소재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빛망울 소재의 정체는 밝은 점광원이므로 조명의 전구나 수면의 반짝임, 아침 해에 빛나는 아침 이슬 등 밝고 작은 것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합니다. 이들을 크게 흐려서 빛망울로 만드는 것입니다. 

 

 

PRACTICE 2. 빛망울의 크기는 배경 흐림의 4법칙으로 컨트롤한다

 

빛망울의 크기는 배경흐림의 4법칙과 같은 방법으로 정해집니다. 즉 F값을 작게, 가급적 망원으로, 주제에 가까이 다가가, 빛망울의 소재를 멀리 두고 촬영하면 큰 빛망울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빛망울이 크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며 피사체나 이미지에 맞는 크기로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게 하는 경우 F 값만 조정하려고 조리개를 조이면 셔터 스피드가 느려져 손떨림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특히 밤에 촬영할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