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로 광각 렌즈를 사용할 때는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와 각도에 주목합시다.
넓게 찍힌다는 것은 화면 내의 정보가 늘어난다는 것과 같으며, 대충 촬영해버리면 무엇을 찍었는지 알 수 없고 산만한, '의미 전달이 불가능한 사진'이 되어버립니다.
또 조금 카메라에서 먼 위치에 있으면 작게 찍혀버립니다. 넓게 찍히는 점을 이용해 일부러 주제에 바짝 다가가 배경과의 강약을 만들거나 각도를 살려 원근강믜 강도나 방향을 컨트롤해야 합니다.
렌즈를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보면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다른 면을 볼 수 있습니다.
"표준 줌 렌즈와 같은 거리감으로 촬영하면 모든 풍경이 멀어지므로 쓸쓸한 느낌의 사진이 되어버립니다."
SCENE 1. 주제에 바짝 다가가 원근감을 강조
광각을 사용하면 넓게 찍히기 때문에 이것저것 전부 화면에 넣고 싶어지는데,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무엇을 찍은 것인지 알 수 없게 됩니다. 포인트를 정하고 가까이 다가가 배경과의 크기의 차이를 표현해 봅시다.
SCENE 2. 뒤쪽으로 모이는 것처럼 각도를 살려 촬영
원근법은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실제 거리에 따라서 생기기 때문에 피사체를 정면에서 촬영하면 원근감을 표현하기 힘듭니다. 건물등은 일부러 사선으로 촬영해서 카메라와의 거리 차를 두면 화면에 움직임이 생깁니다.
NOTICE. 부자연스러운 왜곡에 주의해 구도 잡기
초광각 영역에서는 화면 끝으로 갈수록 원근감의 영향으로 왜곡이 생기기 때문에 인물이나 형태가 중요한 상품 촬영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광각 렌즈를 사용할 때 형태를 제대로 나타내려면 최대한 화면 중앙에 배치하도록 합시다.
PRACTICE 2. 포지션과 앵글로 원근법 효과를 만들자
광각 렌즈의 원근감을 더 잘 컨트롤하고 싶으면 카메라의 포지션과 앵글을 의식합시다.
예를 들어 로우 포지션으로 촬영하면 카메라와 지면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지면에 큰 원근감이 생기고 각도를 바꾸면 원근의 수렴 방향을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
원근감 표현은 사진에 임팩트를 주는 것뿐만 아니라 감상하는 사람의 시선을 의도적으로 유도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세계를 가장 매력적으로 담을 수 있는 포지션과 앵글을 찾아봅시다.
PRACTICE 3. 배경 정보가 가득한 와이드 매크로 표현을 노리자
광각 렌즈 효과는 '앞쪽의 피사체와 배경간의 크기 차이가 커지는 것'이라고 생각 할 수도 있습니다.
표준 렌즈로 작은 피사체를 크게 담으려면 배경에 대한 정보량이 줄어듭니다.
그러나 광각의 경우 피사체에 초점이 맞는 아슬아슬한 거리까지 가까이 가서 촬영하면 주제를 크게 담으면서도 배경 정보도 많이 유지한 채로 독자적인 세계감을 만들 수 있습니다.
"피사체에 바짝 다가가도 광각 렌즈라면 넓은 범위를 담아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둡시다!"
*표준 렌즈는 배경 정보가 작다
*광각 렌즈는 배경 정보가 많다
TIP. 사용하고 있는 렌즈의 최단 촬영 거리에 주목
피사체에 충분히 접근해서 촬영할 때 렌즈의 최단 촬영 거리를 확인합시다.
최단 촬영 거리가 30cm 이하의 렌즈면 피사체에 확실하게 접근해서 촬영할 수 있을 것입니다.
'Upper middle cla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대구경 렌즈로 표현력을 기르자 (0) | 2025.01.06 |
---|---|
5. 망원렌즈에 관해 본격적으로 연습해보자 (0) | 2025.01.06 |
4. 망원 렌즈로 촬영하는 밀도 높은 사진 (0) | 2025.01.06 |
2. 광각 렌즈로 표현하는 원근감 (0) | 2025.01.05 |
1. 렌즈 교환에 도전해보자!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