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CTICE 1.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배경을 어떻게 넣을지 정한다
색다른 망원 렌즈 효과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주제와 배경(혹은 전경)의 거리가 다른 두 가지 포인트를 의식합시다. 압축 효과를 노린다면 주제로부터 충분히 거리를 두고 주제와 배경의 밸런스를 확인합니다.
효과가 모자란다면 더 거리를 두고 줌을 사용하면 주제의 크기는 그대로 두고 배경이 커져서 둘 사이의 거리감이 사라집니다. 잘라내기 효과도 같은 방식으로 배경 크기를 조절해 배경을 가급적 심플하게 만듭니다.
"표준 렌즈와 같은 방식으로 접근해 촬영하면 단순히 정보량이 적은 조잡한 사진이 되기 쉽습니다.
거리나 앵글 변화로 배경이나 달라지는 것에 주의합시다."
SCENE 1. 더욱 먼 곳의 배경을 골라 압축 효과 살리기
망원으로 피사체를 포착하는 경우에는 배경을 신경 씁니다. 피사체와 배경이 가까우면 사진이 답답해지기 쉬운 장면이 꽤 있습니다. 멀리 있는 배경이라면 압축 효과를 살리면서도 산뜻한 느낌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배경을 선택하면 복잡해지기 쉽다 -> 멀리 있는 배경을 선택하면 깔끔해진다
SCENE 2. 배경을 심플하게 만들어 잘라내기 효과 살리기
어떤 피사체를 핀포인트로 주목해 잘라내는 경우에도 배경을 넣는 법을 의식합니다.
화각이 좁은 망원 렌즈는 서 있는 위치를 조금 바꾸는 것만으로도 배경의 이미지가 확 바뀌므로 어떤 배경이 최선인지 곰곰이 생각해봅시다.
배경의 어두운 부분이 눈에 띈다 -> 밝은부분만 배경으로 선택한다
NOTICE. 망원 렌즈는 손떨림에도 약하다
망원 촬영에서는 광각, 표준 렌즈보다 손떨림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므로 제대로 잡고 빠른 셔터 스피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준은 1/초점 거리(손떨림 보정이 있다면 그 2~4배)라고 기억해둡시다.
예를 들어 100MM를 사용한다면 1/100초가 손떨림이 없는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초점 거리는 35mm 환산으로 생각해주세요.
"언뜻 괜찮아 보여도 흔들린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합시다.
흔들린다면 셔터 스피드를 올립시다"
PRACTICE 2. 화면 내에 큰 배경/전경 흐림을 담는다
배경 흐림과 선명함에 관한 항목에서 초점거리가 갈수록 배경 흐림이 커진다고 설명했던 것처럼 망원 렌즈는 배경 흐림을 만들기 쉬운 렌즈입니다.
망원 렌즈라면 누구든지 쉽게 배경 흐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차별화하고 싶다면 배경 흐림의 크기나 색, 농담, 형태, 배치 등을 까다롭게 고려하면 좋을 것입니다.
여기서도 배경을 의식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배경흐림과 마찬가지로 전경 흐림도 넣기 쉬우므로 렌즈 가까이에 흐리게 하고 싶은 물체를 배치하면 부드러운 필터처럼 전경 흐림을 만들 수 있습니다.
1. 표준 렌즈는 배경 흐림이 적다
50mm로 촬영하면 배경이 넓게 담겨 그 장소의 이미지는 쉽게 전할 수 있지만 배경에 눈을 뺏겨 주제의 존재감이 조금 작아집니다.
2. 망원 렌즈는 배경 흐림이 많다
떨어져서 200mm로 촬영했더니 배경이 찍히는 범위가 확 좁아지고 배경 흐림도 커져 주제가 부각되는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3. 전경 흐림을 넣으면 더욱 환상적
전경이 조금 쓸쓸하므로 줄기를 렌즈 가까이에 두고 부드러운 전경 흐림과 배경 흐림을 겹치게 만들어 환상적으로 완성됩니다.
TIP. 직선상에 피사체를 늘어놓는다고 생각한다
망원렌즈는 찍히는 범위가 상당히 좁기 때문에 주제와 ㅣ앞뒤의 흐리고 싶은 요소를 직선상에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촬영 위치가 조금 달라지는 것만으로도 결과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촬영자가 적극적으로 움직여 전경과 배경의 벨런스를 조절하도록 합시다.
EX : 촬영자 - 전경흐림 - 주제 - 배경흐림
'Upper middle cla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대구경 렌즈) 피사체와의 거리조절 및 배경 표현과 광량저하 (0) | 2025.01.06 |
---|---|
6. 대구경 렌즈로 표현력을 기르자 (0) | 2025.01.06 |
4. 망원 렌즈로 촬영하는 밀도 높은 사진 (0) | 2025.01.06 |
3. 광각) 테크닉의 열쇠는 '거리'와 '각도' (0) | 2025.01.05 |
2. 광각 렌즈로 표현하는 원근감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