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iority

9. 다양한 장면을 주목해 일상을 담아내자2

lobment 2025. 1. 7. 14:17

PRACTICE 3. 빛과 그림자를 생각하며 사진에 강약을 더한다

 

여러 번 이야기했듯이 사진은 빛으로 이루어져 있고 빛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그림자가 발생합니다.

그림자가 강하게 생기는 맑은 날에는 반드시 그림자에 주목해서 촬영해봅시다. 

 

해가 낮은 시간대의 길게 뻗은 그림자를 포착하거나 피사체에 드리워진 그림자를 사용해 보이는 부분을 한정시키면 감상하는 사람의 시선을 유도하는 고급 테크닉도 사용할 수 이씃ㅂ니다. 

 

광원은 어디에 있는지, 그림자는 어디에 발생하는지를 의식해봅시다. 

 

"일부러 그림자 부분을 넣어 명부에 시선을 유도하거나 실루엣 자체를 멋지게 잘라 담으면 강약 있는 사진이 됩니다."

 

 

 

PRACTICE 4. 사진 속으로 빨려들어갈 것 같은 회전 사진을 찍는다

 

가끔은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가벼운 마음으로 깜짝 놀랄만한 사진을 찍어봅시다. 

그럴 때 추천할 만한 것이 노출 중에 카메라를 돌리는 촬영법입니다. 이미지를 가공해서 얻은 것처럼 보이는 사진이지만 슬로우 셔터로 인한 흔들림을 사용해 쉽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포인트는 셔터 스피드를 늦추고 렌즈를 축으로 카메라를 돌리면서 찍는 것입니다. 중심으로 빨려 들어가는 듯한 빙글빙글 돌아가는 사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TIP. 노출 중에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셔터 우선 모드에서 슬로우 셔터로 설정하고 화면 중심을 축으로 카메라를 돌립니다. 

망원보다도 광각이 축이 잘 나오고 간단합니다. 연사로 촬영해도 좋습니다. 

 

1. 셔터 스피드를 1/10초로 설정

권장 셔터 스피드는 편리한 1/10초입니다. 회전량은 셔터 스피드로 조절하기보다는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속도로 조절하는 편이 쉽습니다. 

 

2. 카메라를 회전시키면서 셔터를 작동

셔터 버튼을 누른 후에 돌리면 한 박자 늦으므로 카메라를 회전시키면서 셔터 버튼을 누르도록 의식해서 촬영하면 성공 화귤ㄹ이 높아집니다. 

 

 

PRACTICE 5. 반사되는 이미지로 그려내는 환상적인 세계

 

평소와는 다른 시점으로 풍경을 잘라 담기 위해 유용한 수단 중 하나가 반사되는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평소 보고 싶은 것을 직접 보는 것에 익숙해져 있지만 거리에는 온갖 곳에 경치가 비치고 있습니다. 

 

유리창이나 물웅덩이, 언제나 손에 들고 있는 스마트폰 화면에도 경치가 비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면 평소와는 전혀 다른 시점으로 거리를 둘러볼 수 있게 됩니다. 

 

 

POINT 1. 반사면을 낮은 위치에서 포착

지면이나 벽의 반사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포착하면 큰 반사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사의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아지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눈높이에서 물웅덩이를 보면 하늘밖에 비치지 않습니다. 

 

POINT 2. 초점은 실제 피사체에 맞추기

반영을 발견했다면 거기에 초점을 맞춰봅시다. 좀처럼 맞지 않는 경우에는 반사되는 실체에 초점을 맞추고 반누름 상태로 초점을 고정해두면 반영 안에도 초점이 맞게 됩니다. 

 

POINT 3. 개방 조리개로 반영을 강조하기

반영에 초점이 맞은 상태는 반사면의 안쪽에 초점이 맞은 상태와 같아 물웅덩이의 테두리는 흐리게 찍힙니다. F값을 작게 해 경계를 흐리게 만들면 환상적이고 신기한 사진으로 완성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