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메라에는 사실 다양한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최근에 나온 카메라에는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데 설정이 다른 사진을 자동으로 여러 장 촬영해주는 브라케팅 촬영이나 노출 과다 또는 노출 부족을 억제하기 위해 사진을 합성하는 HDR, 2장의 사진을 카메라 내에 합성하는 다중 노출 등 편리한 기능이 많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면 일상의 촬영이 편리해지는 것뿐만 아니라 카메라만으로도 색다른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이런 편리한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묻어두는 것은 아깝습니다.
"빛이 겹치는 것처럼 한 장의 사진을 만들어, 자신만의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STUDY 1. 설정을 변경해 촬영할 수 있는 자동 브라케팅 촬영
사진의 밝기는 촬영 후에 어느 정도 조정할 수 있지만 보정하면 반드시 화질이 저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보정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촬영 시에 노출을 확실히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한 번에 적정 노출을 찾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미리 정한 노출차로 밝기가 다른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해주는 노출 브라케팅 촬영을 합시다.
일출 등 명암차가 큰 장면에서 유용합니다.
"실패하면 안 되는 촬영에서는 브라케팅 촬영을 해두면 안심할 수 있습니다."
TIP. 카메라에 따라 다양한 브라케팅 촬영이 가능
카메라 제조사나 기종에 따라 노출 브라케팅 외에도 화이트 밸런스를 변경한 촬영이나 계조 보정의 강도를 변경한 촬영 등 다양한 브라케팅 촬영이 가능한 것도 있습니다.
중요한 장면을 촬영할 때 사용해서 좋은 사진을 남깁시다.
* 노출 보정
* ISO 감도
* 화이트 밸런스
* 마무리 설정
STUDY 2. 휘도차가 있는 장면에서 유용한 HDR 합성 촬영
노출이 서로 다른 사진을 바탕으로 '밝기가 좋은 부분만 선택'해서 합성하는 방법을 HDR(하이 다이내믹 레인지) 촬영이라고 합니다. 카메라는 한 번에 기록할 수 있는 명암차(다이내믹 레인지)가 기종마다 정해져 있습니다.
때문에 카메라가 기록할 수 있는 명암차보다도 피사체의 명암차가 큰 경우 노출 과다나 노출 부족이 발생하는데, HDR 합성 촬영을 하면 다이내믹 레인지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NOTICE. 흔들리면 제대로 합성할 수 없다
HDR 촬영은 노출 브라케팅 촬영과 마찬가지로 사전에 3~5장의 노출이 다른 사진이 필요하기 때문에 피사체가 움직이는 경우는 합성할 때 어긋나버립니다. 손떨림에도 취약하기 때문에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잡고 고속 연사하거나 삼각대를 사용해 촬영합시다.
휘도차가 큰 장면에서도 눈으로 본 것과 같은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한 장의 이미지 데이터에서 보정하는 계조 보정과는 다른 기능입니다.
STUDY 3. 복수의 사진을 겹치는 다중 노출 기능
필름 카메라 시절에는 한 번 촬영한 뒤 같은 필름에 두 번째 노출을 하는 다중 노출 방법이 있었습니다. 디지털로는 이미지 센서에 두 번의 노출을 할 수는 없지만 카메라 내의 처리에 따라 유사하게 다중 노출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는 것도 있습니다.
처음에는 결과물이 잘 상상되지 않지만 기종에 따라 라이브 뷰에서 완성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아이디어에 따라 다양한 특수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TIP. 증가와 평균 등 다중 노출 합성 방법은 다양하다
다중 노출에서 '증가'와 '평균' 두 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증가는 두 장의 노출이 더해지기 때문에 원래의 사진보다 노출이 밝게 됩니다.
'증가'를 사용할 때는 소재가 되는 사진을 어둡게 찍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균'은 합성할 때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해주므로 사용하기 편합니다.
평균 - 두 사진의 평균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밝기로 완성됩니다. 처음이라도 사용하기 쉬운 모드입니다.
증가 - 사진을 겹치면 밝기도 2장분이 되기 때문에 전부 합치면 노출과다가 됩니다. 합성을 전체로 노출을 정해야 합니다.
* 카메라에 따라 HDR 합성 기능이나 다중 노출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또한, 다중 노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드도 카메라에 따라 다릅니다.
'superio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다양한 장면을 주목해 일상을 담아내자2 (1) | 2025.01.07 |
---|---|
8. 다양한 장면에 주목해 일상을 담아내자 (1) | 2025.01.07 |
6. 플래시 촬영 방법과 명암차를 극복하는 동조 촬영 (1) | 2025.01.07 |
5. 플래시를 사용해 빛을 컨트롤하자 (1) | 2025.01.06 |
4. PL 필터로 빛의 반사를 컨트롤하자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