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값이나 화이트 밸런스 등 촬영 결과에 직결되는 설정 외에도 더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는 환경 설정 항목이 있습니다.
기본 설정도 크게 문제는 없지만 알아두면 편리한 것도 많으므로 카메라 설명서도 참고하면서 여기서 설명하는 설정을 확인해 더 편리하게 촬영해봅시다.
01. TPO에 맞춰 사용하면 좋은 설정
사진을 촬영하는 장면은 다양합니다. 특히 촬영하는 사람의 존재를 가급적 지우고 싶은 콘서트나 극장의 촬영 등은 주변에 사진 촬영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TPO 에 맞는 배려가 중요합니다.
현장에서 당황하지 않기 위해서 소리나 빛이 새어나오는 설정은 언제든 OFF로 바꿀 수 있게 메뉴 위치를 확인해 두도록 합시다.
표시음
AF시 초점이 맞았을 때나 메뉴 조작음의 표시음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ON 일 때 AF동작을 알기 쉽지만 조용해야 하는 장면에서는 OFF로 설정합니다.
AF보조광
어두운 곳에서 사용하면 오렌지 색의 빛이 나옵니다. 어두운 장소에서 AF를 보조하지만 상당히 눈에 띄게 되므로 장면에 따라 OFF로 해둡니다.
02. 촬영 사진의 확인에 관한 설정
디지털 카메라의 이점은 셔터를 누른 후 즉시 촬영 결과를 모니터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지만 설정에 따라서는 촬영 템포가 나빠질 수도 있기에 촬영 스타일에 따라 설정을 바꿔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후면 모니터로 편리하게 촬영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설정도 체크합시다.
촬영 사진의 확인
셔터를 누른 직후에 LCD 모니터에 촬영 결과를 표시할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뷰 촬영 시에는 비표시로 해두면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재생 시 자동 이미지 회전
초기 설정에서는 세로로 된 사진을 표시하면 가로 화면에 세로로 표시되어 사진이 작아지는데 이미지 회전을 OFF로 하면 화면 가득 표시할 수 있습니다.
03. 조작성을 높이기 위한 설정
사진을 잘 찍는 사람은 현장의 상황을 순식간에 판단하고 카메라 설정에 반영해 셔터 찬스를 놓치지 않습니다.
촬영에 익숙해지면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카메라에 적절하게 표시하고 본인이 조작하기 쉽게 버튼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버튼 커스터마이징을 하면 카메라를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인더 정보의 설정
파인더 안에 표시할 정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격자선이나 전자 수평계의 정보 등을 표시하면 편리합니다.
버튼 커스터마이징
카메라의 각종 버튼의 역할을 변경하거나 남은 버튼에 임의의 기능을 할당할 수 있는 기종도 있습니다.
04. 사진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설정
카메라로 기록한 화질은 촬영 후에는 변경 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설정해둡니다.
최근에는 대용량 메모리 카드나 외장하드디스크도 가격이 저렴해졌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최고 화질로 찍는 것을 추천합니다.
여유가 있다면 지금 필요하지 않아도 나중을 위해 RAW 기록도 남겨둡시다.
큰 것은 작은 것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RAW와 JPEG
RAW+JPEG으로 촬영해두면 나중에 RAW 이미지 처리가 가능해졌을 때 예전 사진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화질 설정
저장하는 화질을 정합니다. 작은 이미지를 크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급적 고화질로 기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SD카드의 포맷
구입한 직후의 SD 카드나 다른 기기에 사용했던 SD 카드를 사용할 때는 처음에 카메라를 사용해 포맷합니다. 카드 내의 데이터는 삭제되므로 주의하십시오.
카드 없이 셔터를 누름
카드 넣는 것을 깜빡하고 촬영하지 않도록 카드가 들어 있지 않을 때는 셔터 버튼을 눌러도 셔터가 작동하지 않도록 설정해두면 깜빡한 것을 알기 쉽습니다.
시간 설정
날짜나 시간이 어긋나면 사진 관리가 어렵습니다.
2대 이상의 카메라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시간을 맞춰두면 편리합니다. 해외 여행 시에는 표준 시간대 변경도 잊지 않도록 합시다.
SD카드 선택의 포인트
사진 데이터 양은 크고 연사로 직을 때는 카메라에서 메모리 카드에 방대한 데이터를 내보냅니다. SD카드의 성능이 안 좋으면 촬영 속도가 떨어지므로 가능한 한 고속에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의 카드를 사용합시다.
1. 용량
RAW+JPEG도 대응 가능한 대용량 타입을 추천합니다. 32GB 정도가 가성비 면에서도 좋습니다.
2. 전송 속도
Mb/s 등의 숫자가 쓰여 있습니다. 전송 속도 60MB/s 이상의 고속 타입을 추천합니다.
3. 스피드 클래스
최저 보증 속도이므로 도중에 기록이 끊기면 곤란한 동영상 촬영 시에 참고해야 할 표기입니다.
4. 규격
일반적인 규격은 통상 UHS-I와 고속 UHS-II 두 가지 클래스가 있습니다. 후자는 카메라가 대응하지 않으면 고속화되지 않습니다.
'Upper middle cla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명암차와 계조 보정(D-레인지) (0) | 2025.01.06 |
---|---|
11. 드라마틱하게 변하는 빛을 포착하는 방법 (0) | 2025.01.06 |
10. 화이트 밸런스로 만드는 필터 효과 (1) | 2025.01.06 |
9. '표준'과 '풍경'의 구분 및 노출 보정 (0) | 2025.01.06 |
8. 사진의 풍미를 더하는 '마무리 설정' 레시피 (1)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