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CTICE 1. 밝기와 콘트라스트를 조정한다
사진의 밝기를 바꾸고 싶으면 '노출'을 조정합니다.
콘트라스트는 사진의 명암 차이라고 생각하면 되어 대비, 하이라이트, 어두운 여역, 흰색 계열, 검정 계열 다섯 가지 슬라이더로 조정합니다.
사진의 인상은 콘트라스트에 영향ㅇ을 받기 쉬우므로 상당히 중요합니다. 명암 모두에 영향을 끼ㅏ치는 것이 대비, 밝은 부분만 조절하려면 하이라이트와 흰색 계열, 어두운 부분만 조절하려면 어두운 영역과 검정 계열로 하면 되고 이 모든 것들이 콘트라스트와 같은 카테고리 입니다.
TIP. 밝기나 콘트라스트를 조정할 수 있는 항목
노출 - 사진 전체의 밝기를 조절합니다. 카메라의 노출 보정과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1은 카메라의 노출 보정 +1과 효과가 거의 같습니다. 단 너무 밝으면 노이즈가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대비 - 사진의 명암의 차이를 넓히거나 좁히는 슬라이더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모두에 적용합니다. 낮추면 차분한 느낌의 분위기가 되고 올리면 강약이 있는 강한 인상이 됩니다.
하이라이트 - 사진에 밝은 부분만 조정하는 슬라이더. 노출 과다가 발생할 것 같은 하늘의 디테일을 되살릴 때 등에 자주 사용합니다. 마이너스로 하면 눈으로 본 것에 가까운 부드러운 인상이 됩니다.
흰색 계열 - 가장 밝은 부분을 조정하는 슬라이더. 히스토그램의 가장 오른쪽 끝을 조정하는 이미지입니다. 하이라이트를 마이너스로 하면서 흰색 계열을 플러스로 하면 보기에도 부드럽고 투명감 있게 보정 할 수 있습니다.
어두운 영역 - 사진의 어두운 부분만을 조정하는 슬라이더. 그늘져서 어두워진 부분을 밝게 할 때 등에 사용합니다. 플러스로 조정하면 눈으로 본 인상에 가까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검정 계열 - 가장 어두운 부분을 조정하는 슬라이더로, 검정의 선명함을 조정합니다. 흰색 계열의 반대로 어두운 영역을 플러스, 검정 계열을 마이너스로 하면 어두운 부분의 선명함을 유지하면서 눈으로 보는 것에 가깝게 만들 수 있습니다.
CASE 1. 전체를 밝고 부드럽게 합성
노출 +1.5로 하이 키로 투명감 있게 완성하려 했지만, 조금 딱딱한 인상이 남아 있어 대비를 -70까지 낮춰 전체를 부드럽게 완성합니다. 카메라 내에서는 대비를 이렇게까지 낮추는 것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 노출과 대비를 나누어서 생각하기
사진 조절에 익숙하지 않으면 노출과 대비를 혼동하기 쉬운데, 나눠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간 영역의 밝기가 변하는 것이 노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밸런스가 바뀌는 것이 대비라고 기억해둡시다.
CASE 2. 명암차가 있는 장면을 풍부한 계조로 표현
촬영 시에 하늘이 노출 과다로 찍히지 않는 정도까지 어둡게 촬영했습니다. 전체 밝기를 노출로 밝게 하고 그림자와 구름의 계조를 어두운 영역, 하이라이트로 조정합니다. 마지막에 전체의 콘트라스트를 흰색 계열, 검정 계열로 조정했습니다.
대비 슬라이더를 사용하지 않아도 하이라이트 ~ 검정 계열로 콘트라스트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명암 차가 클 때는 세세하게 조정
대비 슬라이더는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한꺼번에 조절하기 때문에 이처럼 명암차가 크게 밝은 부분을 중심으로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하이라이트 ~ 검정 계열까지 4개의 슬라이더를 개별로 세세하게 조정하는 편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COLUMN. 고감도로 촬영하면 밝기 조정 폭이 작아진다
RAW로 촬영하면 촬영 후에 밝기를 조정하기 쉽다고 소개했지만 촬영 시의 ISO감도에도 주의합시다.
저감도 RAW데이터는 질이 좋기 때문에 대폭 조정해도 괜찮지만 고감도로 촬영한 데이터 질은 좋지 않아 크게 조정하면 화질이 나빠지기 쉽습니다.
'superio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윤곽 조정 및 다양항 현상 기능 (0) | 2025.01.09 |
---|---|
19. 색감 및 채도 조절을 해보자 (0) | 2025.01.09 |
17. RAW 현상으로 사진의 마무리를 짓자 (0) | 2025.01.09 |
15. '움직이는 피사체'를 역동적으로 포착하자 (2) | 2025.01.08 |
14. 밤하늘을 수놓는 '불꽃놀이' 사진을 찍어보자 (0) | 2025.01.08 |